번동 CentOS 재설치, 포맷 초기화 모르면 후회할 5가지 핵심

여러분, 혹시 사용하던 CentOS 시스템이 어느 날 갑자기 버벅이거나, 예상치 못한 오류에 발목 잡혀 답답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아니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깔끔하게 초기화된 환경이 절실했던 순간은요? 솔직히 저도 처음엔 리눅스 OS 재설치라는 말이 주는 압박감에 괜히 엄두가 안 나더라고요.

혹시라도 중요한 데이터가 날아가거나, 복잡한 설정 때문에 시스템을 아예 망가뜨릴까 봐 걱정이 앞섰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우리가 스마트폰을 초기화하듯, 리눅스 서버의 핵심인 CentOS도 얼마든지 쉽고 안전하게 새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답니다.

운영체제라는 게 결국 시간이 지나면 불필요한 파일이 쌓이거나 설정이 꼬이면서 성능 저하를 겪기 마련인데요, 이럴 때 과감한 포맷과 재설치는 마치 새 컴퓨터를 산 듯한 상쾌함을 안겨줄 거예요. 특히 서버 환경에서는 작은 오류 하나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기적인 관리와 함께 필요한 시점에 초기화를 통한 재설치는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아주 현명한 방법이랍니다.

많은 분들이 CentOS 7 버전을 아직도 안정적으로 사용하시면서도, 때때로 이런 초기화 작업의 중요성을 느끼실 텐데요, 기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하면서 완벽하게 시스템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복잡해 보이는 과정도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해낼 수 있어요.

자, 그럼 번동에서 CentOS를 완벽하게 재설치하고 초기화하는 모든 과정을 지금부터 저와 함께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재설치, 정말 필요한 걸까? 시스템 건강 진단!

번동 centos재설치 포맷  초기화 - **Prompt 1: System Health Diagnosis and Frustration**
    An IT professional, appearing slightly str...

왜 CentOS 재설치를 고민하게 될까요?

여러분, 혹시 사용하던 CentOS 서버가 어느 날 갑자기 버벅이거나, 예상치 못한 오류에 발목 잡혀 답답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저는 예전에 회사에서 운영하던 개발 서버가 이유 모를 느려짐과 잦은 서비스 다운으로 골치를 썩였던 적이 있어요. 처음에는 단순히 메모리나 CPU 사용량이 높은 줄 알고 리소스만 계속 늘려줬는데, 근본적인 해결이 안 되더라고요.

알고 보니 이런 문제의 원인은 시스템 곳곳에 쌓인 불필요한 파일들, 꼬여버린 설정들, 혹은 특정 패키지 간의 충돌 등 생각보다 다양한 곳에 숨어있을 수 있답니다. 마치 오래 사용한 스마트폰이 점점 느려지는 것과 비슷한 이치죠. 저처럼 고생하지 마시고, 시스템이 이상 징후를 보인다면 재설치를 심각하게 고민해볼 때입니다.

초기화가 주는 놀라운 이점들

CentOS를 초기화하고 재설치하는 과정은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시스템 전반에 걸쳐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점은 바로 성능 향상이죠. 불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설정이 사라지면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서비스 응답 속도 향상과 안정적인 운영으로 이어집니다.

제가 직접 경험했던 바로는, 재설치 후 서버의 부팅 시간이나 애플리케이션 실행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져서 개발팀원들의 만족도가 확 올라갔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또한,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됩니다. 오랜 시간 운영된 시스템은 알게 모르게 취약점이 쌓이거나 구형 패키지로 인해 보안에 구멍이 생길 수 있거든요.

깨끗하게 재설치하면 최신 버전의 운영체제와 보안 패치를 적용하여 더욱 안전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완전히 초기화된 환경은 새로운 프로젝트나 테스트 환경을 구축할 때 그 어떤 간섭도 없는 ‘백지 상태’를 제공하여 훨씬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처럼 초기화는 시스템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예방하는 만능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소중하니까! 재설치 전 필수 백업 전략

놓치면 후회할 중요 데이터 백업 가이드

여러분, 아무리 시스템 재설치가 중요하다고 해도, 백업만큼 중요한 건 없습니다! 제가 예전에 아무 생각 없이 OS 재설치를 진행하다가, 가장 중요한 설정 파일 몇 개를 백업하지 않아 밤샘 복구 작업을 했던 아찔한 기억이 있어요. 그때의 식은땀은 아직도 잊히지 않네요.

그래서 백업은 정말이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특히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운영하고 계시다면, 모든 설정 파일, 데이터베이스 덤프, 웹 콘텐츠(HTML, CSS, JS 파일 등), 그리고 기타 중요한 로그나 스크립트 파일을 꼼꼼히 챙겨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etc 디렉토리 전체, /var/www (웹 루트), 데이터베이스 관련 파일, 사용자 홈 디렉토리(/home/), 그리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렉토리 등을 중점적으로 백업해야 하죠.

백업 방법은 tar 명령어로 압축하거나, rsync 를 이용해 원격 서버로 동기화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반드시 백업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다른 저장 장치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이중으로 보관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안전하고 확실한 백업 방법들

백업은 단순히 파일을 복사하는 것을 넘어, ‘어떻게 안전하게 보관하고 필요할 때 복원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tar 명령어를 이용한 압축 백업입니다. 예를 들어, tar -czvf /backup/my_data_$(date +%Y%m%d).tar.gz /home/user /etc/nginx /var/www/html 과 같이 실행하면, 특정 디렉토리들을 하나의 압축 파일로 묶어 날짜까지 붙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백업 파일은 외부 USB 드라이브나 네트워크 스토리지(NAS), 혹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AWS S3, Google Cloud Storage 등)에 업로드해두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죠. 또 다른 방법으로는 rsync 명령어를 활용하여 원격 서버로 실시간에 가깝게 동기화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이는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거나 빈번한 백업이 필요한 환경에서 빛을 발합니다. 중요한 것은 백업 계획을 세우고, 주기적으로 백업을 수행하며, 무엇보다 백업된 데이터가 실제로 복원 가능한지 주기적으로 테스트해보는 것입니다. 저는 꼭 한번씩 백업된 파일을 임시 서버에 복원해보면서 검증하는 습관을 들이고 있는데, 이게 정말 나중에 큰 사고를 막아줍니다.

Advertisement

새로운 시작을 위한 준비물: 설치 미디어와 부팅 설정

CentOS 설치 미디어 준비하기

자, 이제 재설치를 위한 본격적인 준비 단계입니다. 가장 먼저 필요한 건 바로 CentOS 설치 미디어예요. 일반적으로는 CentOS 공식 웹사이트에서 ISO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 USB 드라이브에 구워 사용합니다.

저는 주로 안정성이 검증된 CentOS 7 버전을 선호하는데, 공식 홈페이지에서 손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셨다면, 이제 이 파일을 부팅 가능한 USB로 만들어야 하는데요, 윈도우 환경에서는 Rufus 나 Etch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아주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dd 명령어를 활용하면 되는데, 이때 of 옵션에 올바른 USB 장치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자칫 다른 디스크를 포맷할 수 있으니 정말 조심하셔야 해요! 제 친구 중 한 명은 멋모르고 dd 명령어를 쓰다가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를 날려버린 적도 있답니다.

그러니 fdisk -l 이나 lsblk 명령어로 장치명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 설치 미디어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으면 재설치 자체가 불가능하니, 꼼꼼하게 확인 또 확인해주세요.

바이오스/UEFI 부팅 순서 변경의 중요성

설치 미디어가 준비되었다면, 다음은 서버나 컴퓨터가 이 USB로 부팅되도록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하드 디스크로 부팅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설치를 위해서는 BIOS(또는 UEFI) 설정에 들어가 부팅 순서를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보통 시스템을 켤 때 F2, Del, F10, F12 등의 키를 연타하면 BIOS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는데, 제조사마다 다르니 사전에 확인해두는 게 좋습니다.

여기서 ‘Boot Order’ 또는 ‘Boot Priority’ 섹션을 찾아 USB 드라이브를 최상단으로 옮겨주면 돼요. 이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USB를 꽂아도 계속 기존 운영체제로 부팅되거나 부팅 가능한 장치를 찾지 못한다는 메시지가 뜰 겁니다. 예전에 제가 새 서버에 CentOS를 설치하려는데 아무리 해도 USB로 부팅이 안 돼서 한참을 헤맸던 적이 있는데, 알고 보니 부팅 순서 설정을 저장하지 않고 나와버렸더라고요.

작은 실수 하나가 시간을 낭비하게 만드니, 설정 변경 후에는 꼭 ‘Save and Exit’ 또는 ‘저장 후 종료’ 옵션을 선택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두근두근! CentOS 7 설치 과정, 하나하나 따라 해볼까요?

설치 마법사 따라가기: 언어 및 시간 설정

모든 준비가 끝났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CentOS 7 을 설치해 볼 시간입니다! USB로 부팅에 성공하면 익숙한 CentOS 설치 화면이 나타날 거예요. 첫 화면에서는 설치에 사용할 언어를 선택하게 되는데, 저는 주로 ‘한국어’를 선택해서 진행합니다.

아무래도 모국어로 진행하는 게 훨씬 편하고 이해하기도 쉽더라고요. 그 다음은 ‘날짜 및 시간’ 설정입니다. 여기서 현재 위치를 정확히 설정해주면 시스템 시간이 자동으로 맞춰지니 아주 편리하죠.

특히 서버에서는 로그 기록이나 작업 스케줄링 등에 시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 단계에서 저는 항상 네트워크 동기화 기능(NTP)을 활성화하여 시간이 항상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설정합니다. 아주 사소해 보이는 부분이지만, 나중에 시간 관련 오류로 골머리 썩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이니 대충 넘기지 마시고 꼼꼼하게 확인해주세요.

저도 과거에 시간이 안 맞아서 특정 서비스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애먹었던 경험이 있어서 이 부분은 항상 신경 씁니다.

소프트웨어 선택과 설치: 필요한 것만 쏙쏙!

설치 과정에서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바로 ‘소프트웨어 선택’입니다. CentOS는 다양한 용도에 맞춰 여러 가지 ‘기본 환경(Base Environment)’을 제공하는데요, 예를 들어 ‘Minimal Install’은 최소한의 패키지만 설치하여 가볍게 운영하고 싶을 때 적합하고, ‘Server with GUI’는 그래픽 환경이 필요한 서버에 유용합니다.

저는 대부분 원격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구축하기 때문에 ‘Minimal Install’을 선택한 다음, 필요한 패키지들은 나중에 직접 설치하는 편입니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고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거든요. 만약 특정 개발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면 ‘Development Tools’나 ‘Legacy Unix Compatibility’와 같은 추가 소프트웨어들을 선택해줄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어떤 환경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설치되는 패키지의 종류와 수가 크게 달라지니, 본인의 서버 용도에 맞춰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괜히 이것저것 다 설치했다가 나중에 필요 없는 서비스들이 계속 실행되면서 리소스만 잡아먹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습니다.

Advertisement

포맷과 파티션, 어렵지 않아요! 디스크 설정 완벽 가이드

번동 centos재설치 포맷  초기화 - **Prompt 2: Meticulous Data Backup Before Reinstallation**
    A focused IT engineer, dressed in a p...

디스크 파티셔닝, 개념부터 확실히!

CentOS 재설치 과정에서 가장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고 또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설치 대상’ 즉, 디스크 파티셔닝입니다. 여기서 잘못 설정하면 기존 데이터가 모두 날아가거나, 심지어 다른 디스크를 포맷해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죠. (아, 생각만 해도 아찔하네요!)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개념만 잘 잡고 따라 하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은 / (루트), /boot, swap 등의 파티션을 필요로 합니다. /는 운영체제의 핵심 파일들이 설치되는 공간이고, /boot 는 부팅 관련 파일들이, swap 은 물리 메모리가 부족할 때 사용되는 가상 메모리 공간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home 디렉토리도 따로 파티션으로 분리하는 것을 선호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나중에 운영체제를 재설치할 때 사용자 데이터는 그대로 보존하면서 OS만 깨끗하게 밀어버릴 수 있어 굉장히 편리합니다. 파티션 나누는 기준은 서버의 용도나 디스크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자신의 환경에 맞게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 파티셔닝 vs 수동 파티셔닝, 현명한 선택은?

CentOS 설치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파티션 구성’과 ‘직접 파티션 구성’ 두 가지 옵션을 제공합니다. 만약 여러분의 서버에 중요한 데이터가 없고, 디스크 전체를 CentOS에 할당할 생각이라면 ‘자동 파티션’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한 방법입니다. 설치 프로그램이 알아서 최적의 파티션 구조를 만들어주거든요.

하지만 기존에 윈도우와 듀얼 부팅을 사용했거나, 특정 파티션만 재사용하고 싶거나, 또는 특정 디렉토리를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싶다면 ‘직접 파티션 구성’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티션을 생성, 삭제,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앞서 설명했던 /, /boot, swap 등의 파티션을 직접 생성하고 용량을 할당해주면 됩니다. 특히 이때 기존 파티션들을 초기화(포맷)할지 여부를 잘 결정해야 하는데요, 기존 CentOS를 완전히 밀어버리고 싶다면 관련된 모든 파티션을 포맷하도록 선택해야 합니다.

정말 중요한 단계이니, 신중하게 선택하고 진행해주세요. 저도 항상 이 부분에서 잠깐 숨을 고르고 다시 한번 확인하는 습관이 있어요.

파티션 권장 용량 (최소) 주요 기능 설명
/ (루트) 20GB 이상 운영체제 핵심 파일 및 프로그램 저장 모든 디렉토리의 시작점이며, OS가 설치되는 공간입니다. 넉넉하게 할당하는 것이 좋습니다.
/boot 500MB ~ 1GB 부트로더 및 커널 관련 파일 저장 시스템 부팅에 필요한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너무 작으면 업데이트 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swap 물리 RAM의 1 배 ~ 2 배 (최대 8GB 권장) 가상 메모리 (RAM 확장) 물리 RAM이 부족할 때 디스크를 RAM처럼 사용합니다. 서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합니다.
/home (선택 사항) 사용자 데이터 용량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사용자 파일들을 OS와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재설치 시 데이터 보존에 용이합니다.

재설치 후에도 잊지 말아야 할 것들: 초기 설정과 최적화

재부팅 후 첫 만남: root 비밀번호 설정과 사용자 계정 생성

설치 과정이 순조롭게 마무리되고 시스템이 재부팅되면, 드디어 새로운 CentOS와의 첫 만남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재부팅 후에는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날 거예요. root 는 리눅스 시스템의 최고 관리자 계정이므로, 절대로 쉽거나 예측 가능한 비밀번호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저는 항상 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조합한 12 자리 이상의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강력한 비밀번호는 서버 보안의 첫걸음이니까요. root 비밀번호 설정이 끝나면, 일반적으로는 일반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보안을 위해 root 계정으로 직접 로그인해서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작업은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진행하고 필요할 때만 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root 권한을 얻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 이름을 정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이 과정까지 마치면, 드디어 깨끗하게 초기화된 CentOS 시스템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순간의 뿌듯함이란!

네트워크 설정부터 SSH 활성화까지, 필수 초기화 작업

로그인에 성공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난 건 아닙니다. 서버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몇 가지 필수적인 초기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바로 ‘네트워크 설정’입니다.

DHCP를 사용한다면 자동으로 IP 주소를 받아오겠지만, 고정 IP가 필요한 서버라면 nmtui 또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XXX 파일을 직접 수정하여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정보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네트워크 설정이 항상 헷갈렸는데, 몇 번 해보니 금방 익숙해지더라고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바로 ‘SSH(Secure Shell) 서비스’ 활성화입니다. 대부분의 서버 관리 작업은 원격에서 SSH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방화벽(firewalld)에서 SSH 포트(기본 22 번)를 열어주는 작업은 필수입니다.

systemctl enable sshd 와 systemctl start sshd 명령어로 SSH 서비스를 시작하고, firewall-cmd –add-service=ssh –permanent 등으로 방화벽을 설정해주는 것을 잊지 마세요. 이렇게 기본적인 네트워크와 원격 접속 환경이 마련되어야 비로소 본격적인 서버 운영 준비가 완료됩니다.

Advertisement

혹시 모를 상황 대비! 트러블슈팅과 마무리 점검

설치 후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 해결

아무리 꼼꼼하게 설치를 진행했더라도, 가끔은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이 제대로 안 되어 외부에서 접속이 안 되거나, 특정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죠. 제가 예전에 재설치 후에 웹 서버를 올리려는데, yum 명령어가 자꾸 에러를 뿜어내는 바람에 한참을 씨름했던 기억이 납니다.

알고 보니 DNS 설정이 잘못되어 외부 저장소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더라고요. 이런 경우, 먼저 네트워크 설정(ip addr, ping google.com)을 확인하고, 방화벽 규칙(firewall-cmd –list-all)을 점검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또한, 시스템 로그(journalctl -xe 또는 /var/log/messages)를 확인하면 문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검색을 통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만, 로그를 읽고 문제를 분석하는 능력은 서버 관리자에게 필수적인 자질이라고 생각합니다.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하나씩 점검해나가면 분명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거예요. 저도 항상 문제가 생기면 로그부터 확인하는 습관이 몸에 배어있답니다.

모든 것이 완벽한지 최종 점검하기

이제 모든 설치와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새로운 시스템이 완벽하게 작동하는지 최종적으로 점검하는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저는 항상 다음과 같은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서 확인합니다. 첫째, 모든 시스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최신 보안 패치와 기능을 적용했는지 (yum update -y). 둘째, 필요한 서비스(SSH, 웹 서버, DB 등)가 모두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고,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시작되는지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 systemctl is-enabled [서비스명]).

셋째, 방화벽이 필요한 포트만 열려 있고 불필요한 포트는 닫혀 있는지 (firewall-cmd –list-all). 넷째, 디스크 공간(df -h)과 메모리 사용량(free -h)은 정상적인지. 마지막으로, 백업한 데이터나 설정 파일들을 다시 복원했을 때 애플리케이션들이 문제없이 동작하는지 테스트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꼼꼼히 거치고 나면, 비로소 새로운 CentOS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준비를 마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까지 완벽하게 해내면 정말 뿌듯함과 동시에 ‘내가 이걸 해냈어!’라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글을 마치며

이렇게 CentOS 재설치에 대한 긴 여정을 함께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서버 운영에서 재설치라는 작업은 때로는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제대로 된 준비와 과정을 거친다면 시스템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답니다. 마치 우리 집을 대청소하듯, 서버도 주기적으로 깨끗하게 정리해주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질 거예요. 오늘 제가 알려드린 꿀팁들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CentOS 서버가 언제나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길 바라며, 이 글이 여러분의 서버 관리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새로운 시스템에서 펼쳐질 멋진 일들을 기대하며, 여러분의 성공적인 서버 운영을 응원합니다!

Advertisement

알아두면 쓸모 있는 정보

1. 정기적인 백업 습관화: 재설치 계획이 없더라도 중요한 데이터는 항상 이중, 삼중으로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에요.

2. 설치 전후 로그 확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 로그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로그는 문제 해결의 가장 확실한 단서가 됩니다.

3. SSH 키 기반 인증 사용: 비밀번호 방식 대신 SSH 키 기반 인증을 사용하면 서버 보안을 훨씬 강화할 수 있습니다. 설정 과정이 조금 번거롭더라도 꼭 적용해두세요.

4. 방화벽 정책 최소화: 필요한 포트만 열어두고 불필요한 포트는 항상 닫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서버 보안의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5. 최신 업데이트 유지: 시스템과 설치된 패키지들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여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으로부터 서버를 보호하세요. yum update -y 명령어를 잊지 마세요!

중요 사항 정리

CentOS 재설치는 시스템 성능 향상과 보안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재설치 전 모든 중요 데이터를 꼼꼼하게 백업하는 것이며, 설치 과정에서는 디스크 파티셔닝과 소프트웨어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설치 완료 후에는 강력한 root 비밀번호 설정, 일반 사용자 계정 생성, 네트워크 및 SSH 활성화와 같은 초기 설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시스템 업데이트를 적용하고 필요한 서비스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최종 점검하여 안정적인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모든 단계를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든지 성공적으로 CentOS를 재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을 거예요.

자주 묻는 질문 (FAQ) 📖

질문: 제가 지금 CentOS 7 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예 처음 설치하는 것처럼 깨끗하게 초기화하고 재설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기존에 깔려있던 OS를 완전히 지워버리고 싶어요!

답변: 아, 기존 CentOS 7 을 완전히 밀고 새롭게 시작하고 싶으시군요! 마치 새 컴퓨터를 장만한 기분을 느끼고 싶으실 거예요. 걱정 마세요,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답니다.
CentOS 재설치 과정 중에 디스크 설정 단계가 나오는데요, 이때 ‘디스크 파티션’ 관련 옵션에서 기존 파티션을 모두 삭제하고 새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보통 ‘모든 데이터 삭제 후 새로 설치’ 같은 옵션이나, 직접 파티션을 선택해서 삭제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이 과정을 거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CentOS 7 은 물론, 그 안에 있던 모든 설정과 데이터가 깨끗하게 지워지고 마치 공장에서 갓 나온 새 시스템처럼 초기화된 CentOS를 만나보실 수 있을 거예요. 제가 직접 해보니 이 방법이 가장 깔끔하고 속 편하더라고요!

질문: 리눅스 OS를 재설치할 때, 윈도우처럼 미리 포맷을 따로 해줘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재설치 진행하면 알아서 다 해주나요?

답변: 많은 분들이 윈도우 생각하시면서 미리 포맷해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더라고요! 저도 처음엔 그랬어요. 그런데 리눅스는 윈도우와는 조금 다르답니다.
보통 리눅스 운영체제를 재설치할 때는 별도로 포맷 작업을 미리 할 필요가 없어요. 설치 과정에서 디스크를 어떻게 사용할지 묻는 단계가 나오는데, 이때 기존 파티션을 삭제하고 새로 파티션을 설정하면서 자동으로 포맷이 진행됩니다. 그러니까 부팅 가능한 USB나 DVD로 설치를 시작한 후에, 설치 마법사가 시키는 대로만 따라가면 알아서 싹 정리해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오히려 미리 포맷한다고 복잡하게 다른 도구를 쓸 필요 없이 설치 미디어 하나면 충분하답니다. 정말 편리하죠?

질문: 기존에 사용하던 CentOS 서버에 중요한 데이터가 많이 있는데, OS 재설치하면 다 날아가는 거 아닌가요? 데이터는 어떻게 보존해야 할까요?

답변: 이 질문은 정말 중요하고 많은 분들이 가장 걱정하시는 부분일 거예요. 저도 그랬으니까요! 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OS 재설치 과정에서 디스크를 초기화하게 되면 기존 데이터는 모두 사라집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백업’이에요! 재설치 전에는 반드시 중요한 모든 데이터를 외부 저장 장치(외장 하드, NAS,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에 백업해두셔야 합니다. 만약 서버에 별도의 데이터 디스크가 분리되어 있고 OS가 설치된 디스크만 초기화한다면 데이터 디스크는 건드리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항상 백업은 필수 중의 필수예요.
데이터 유실만큼 가슴 아픈 일은 없으니까요. 제가 직접 경험해보니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더라고요. ‘설마’ 하는 마음보다는 ‘만약’에 대비하는 현명한 자세가 필요하답니다!

📚 참고 자료


➤ 7. 번동 centos 재설치(포맷) 초기화 – 네이버

– centos 재설치(포맷) 초기화 – 네이버 검색 결과

➤ 8. 번동 centos 재설치(포맷) 초기화 – 다음

– centos 재설치(포맷) 초기화 – 다음 검색 결과
Advertisement

Leave a Comment